성서백주간 예습

예습(51-60)

영애루시아 2023. 2. 2. 16:39

51주간 예습 (에즈라기. 느헤미야기)

기원전 538년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왕이 바빌론 제국을 무너뜨리고 제국 내에 포로로 잡혀온 소수 민족들의 귀환을 허락했다. 그리하여 많은 유다인들이 바빌론을 출발해 팔레스티나로 돌아갔다. 그 일행 중에 율법에 능통한 선비 에즈라가 있었다. 예루살렘에 도착한 에즈라는 느헤미야와 함께 백성들이 모세의 율법을 지키도록 가르쳤다.

  에즈라, 느헤미야서는 본래 한 권의 책이고 역대기의 계속이다. 언제 두 권의 책으로 구분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70인역 그리스어 성서(LXX)의 모든 사본은 한 권으로 수록한다. 사건 당시의 기록들을 사료로 이용하기 때문에 바빌론 유배 이후의 민족 재건사를 복원하는 데 아주 귀중한 사료다. 에즈라서는 유배 이후에 이스라엘 공동체가 예루살렘 성전과 사제직을 중심으로 순수한 종교적 공동체로 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움책 구약 예언 교훈편, 334-336쪽 에즈라 느헤미야서 시대, 성립시기, 내용을 참조하라.

  예루살렘에 도착해 에즈라가 취한 엄격한 조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런 엄격한 조치를 취한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라. 느헤미야가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며 겪는 눈물겨운 과정을 살펴보고, 느헤미야의 고매한 인품을 생각해보라.

 

52주간 예습(하까이서. 즈카르야서 1-8장)

기원전 538년 바빌론 유배에서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유다인들은 실망해 주저앉았다. 그들이 꿈에도 그리던 예루살렘 성전이 폐허로 버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실의의 나날을 보내던 유다인들을 격려하고 용기를 북돋워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하고 유다인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이끈 예언자들이 있었으니 그들이 곧 하까이 즈카르야다.

  도움책 구약 예언 교훈편, 347쪽 하까이서 시대배경과 예언자를 참조하라. 350-353쪽, 즈카르야서 제1부 시대배경과 예언자, 내용과 구분을 참조하라. 도움책은 특별히 353쪽에서 즈카르야의 여덟 가지 환시를 일목요연하게 도표로 제시한다.

  이번 주에 읽을 부분에서 하까이, 즈카르야가 백성에게 강조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라. 특별히 하까이가 하느님의 성전을 재건하도록 백성을 다그치는 말을 살펴보라.]

 

53주간 예습(말라키서. 요엘서)

 말라키 예언자는 에즈라와 느헤미야보다 약간 먼저 활동했다. 이때는 바빌론 유배에서 돌아와 제2성전이 완공(기원전 515년) 되었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하느님을 공경하는 예배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그래서 말라기 예언자가 예언자들의 전통적인 가르침에 입각해 참된 종교생활을 설파했다. 도움책 구약 예언 교훈편, 359-360쪽 말라키서 시대배경, 내용, 구분을 참조하라.

  말라키가 특별히 강조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라. 그리고 말라키가 강조하는 ‘주님의 날’은 어떤 날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말라키의 메시아 대망은 신약성서의 메시아 대망을 준비시키기 때문이다.

요엘 역시 ‘주님의 날’에 관심이 많다. 도움책 구약 예언 교훈편, 365-366쪽 요엘서 시대배경, 내용, 구분을 참조하라.

 

54주간 예습(이사야서 56-66장)

  이 부분은 기원전 6세기 팔레스티나에서 활동한 익명의 저자(소위 말하는 제3이사야)가 쓴 것이다. 이 사람이 누구인지 확실히 알 수는 없지만 이사야의 사상을 이어받았음은 확실하다. 제3이사야는 그 당시 백성의 죄악을 고발하면서도 하느님께서 예루살렘을 구원해 만방의 빛으로 삼으실 것이라고 선포하였다. 도움책 구약 예언 교훈편, 372-373쪽 이사야서 제3부 시대배경, 내용을 참조하라.

  제3이사야가 강조하는 것이 여러 가지므로 요점을 파악하려면 각자 나름대로 정리하면서 읽어야 한다.

 

55주간 예습(즈카르야서 9-14장)

  즈카르야서 1-8장은 하까이와 동시대 사람인 즈카르야의 것이지만 즈카르야서 제2부인 9-14장은 훨씬 후대의 것이다. 즈카르야서 제2부는 이방 나라들이 예루살렘을 공격하지만 하느님께서 이스라엘을 구원하실 것임을 선포한다. 즈카르야서 제2부는 특별히 메시아와 메시아의 시대에 관심을 가진다. 그러므로 즈카르야서 9-14장을 읽으면서 메시아의 모습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그리고 그런 메시아의 모습이 예수 그리스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주의 깊게 살피면서 읽어야 한다. 도움책 구약 예언 교훈편, 383-384쪽을 참조하라.

 

56주간 예습(역대기 상권. 하권)

  역대기(歷代記)는 사무엘기 상하권, 열왕기 상하권의 반복이 아니다. 역대기의 관심은 다윗 가문과 레위 지파 그리고 성전에 집중되어 있다. 그래서 다윗과 솔로몬이 잘못한 것을 의도적으로 빼버렸고 북쪽 왕들의 이야기는 전혀 기록하지 않았다. 이런 특징은 역대기가 사무엘기 상하권, 열왕기 상하권과는 달리 고유의 문학적, 신학적 작업을 했다는 증거다. 도움책 구약 예언 교훈편, 390-392쪽을 참조하라.

  이번 주에는 읽어야 하는 분량도 방대하고 내용도 상당히 지루하지만, 역대기 저자가 우리에게 말하고자 하는 바를 파악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57주간 예습(잠언 1-15장)

  이제부터 교훈서를 공부한다. 교훈서는 인생을 훌륭하게 잘 살 수 있는 가르침을 전하는 책들이다. 구체적인 처세술을 가르치지만 그 바탕에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신앙이 깔려있다. 그래서 하느님을 두려워하여 잘 섬기는 것, 율법을 잘 지키는 것이 지혜의 근본이라고 설파한다. 도움책 구약 예언 교훈편 409-410쪽 교훈서 실마리를 참조하라.

  잠언(箴言)은 기나긴 과정을 거쳐 기원전 5세기에 오늘날의 형태로 완성되었다. 잠언의 저자는 자신의 신앙체험에서 우러나온 인생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교훈을 준다. 잠언이 말하는 인생의 정도(正道)는 무엇인지, 그리고 참된 지혜는 무엇인지 생각하며 읽어야 한다. 도움책 구약 예언 교훈편, 411-412쪽을 참조하라.

 

58주간 예습(잠언 16-31장)

  이 부분은 솔로몬의 지혜뿐만 아니라 여러 현자들의 말로 구성되었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현자들이 강조하는 것이 무엇인지, 지혜롭게 인생을 사는 비결이 무엇인지 배워야 한다.

 

59주간 예습(욥기 1-21장)

  기원전 587년 예루살렘 멸망과 바빌론 유배라는 대재앙을 겪은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런 곤경 가운데 하느님의 정의와 개인의 운명을 숙고하게 되었다. 욥기는 이스라엘 백성의 이러한 숙고와 성찰을 반영하는 책이다. 도움책 구약 예언 교훈편, 415-418쪽을 반드시 참조하라.

  욥기는 산만한 것 같지만 사실은 아주 명확한 도식에 따라 구성되었다. 도식을 미리 알고 읽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 그 도식은 다음과 같다.

1) 산문으로 된 서언(1-2장)

2) 담화의 세 단계

㉮ 욥의 통곡(3장)

㉯ 첫 번째 단계(4-14장)

엘리파즈(4-5장) 욥의 답변(6-7장)

빌닷(8장) 욥의 답변(9-10장)

초바르(11장) 욥의 답변(12-14장)

㉰ 두 번째 단계(15-21장)

엘리파즈(15장) 욥의 답변(16-17장)

빌닷(18장) 욥의 답변(19장)

초바르(20장) 욥의 답변(21장)

㉱ 세 번째 단계(22-37장)

엘리파즈(22장) 욥의 답변(23-24장)

빌닷(25장) 욥의 답변(26-27장)

지혜 찬가(28장) 욥의 마지막 답변(29-31장)

엘리후의 연설(32-37장)

3) 주님께서 폭풍우 속에서 대답하시다(38,1-42,6)

㉮ 첫 번째 말씀(38,1-40,2) 욥이 굴복을 표명(40,3-5)

㉯ 두 번째 말씀(40,6-41,26) 욥의 참회(42,1-6)

4) 산문으로 된 결어(42,7-17)

 

  욥기를 읽으면서 욥이 어떠한 인물인지, 그리고 욥이 주장하는 것이 무엇인지, 욥의 친구들은 무엇을 주장하는지 파악해야 한다.

 

60주간 예습(욥기 22-42장)

  이 부분은 욥의 친구들과 욥의 세 번째 단계의 담화에서 시작해 욥의 행복한 결말까지 내용이다. 욥의 친구들은 똑같은 주장을 되풀이하고 욥 역시 같은 이야기를 계속 주장한다. 친구들의 말에 욥이 답변하는 내용을 잘 살펴보면서 욥의 주장 속에 담긴 핵심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우리에게 전혀 소개가 되지 않았던 제4의 인물 엘리후가 주장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하느님께서 개입해 말씀하시는 내용(38-41장)은 그 동안 욥이 제기했던 질문과는 약간 동떨어진 대답인데, 욥이 하느님 앞에서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유념하여 읽어야 한다.

'성서백주간 예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주간 예습(71주~76주, 구약성경을 마무리하며)  (0) 2023.03.04
예습(61~70)  (0) 2023.02.07
예습(46-50)  (1) 2023.02.02
40주간~45주간 예습  (0) 2022.11.04
30주~39주 예습  (0) 2022.06.29